싯다르타
오늘 포스팅할 책은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입니다. 인도여행을 통한 체험으로 쓴 책이라고 하며 자기 계발서적으로 손색이 없는 상당히 심오하고 생각의 생각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준 좋은 책입니다.
책 한 권을 한 문장 또는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 모든 것은 되돌아온다.
저자소개
저자는 유명한 헤르만 헤세입니다. 1877년 독일 남부 뷔르템베르크의 칼프에서 태어나 목사인 아버지와 신학계 집안의 어머니 밑에서 자랐습니다. 1890년 신학교 시험 준비를 위해 괴핑엔의 라틴어 학교에 다니며 뷔르템베르크 국가시험에 합격했다. 1892년 마울브론 수도원 학교에 입학했으나 기숙사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시인이 되기 위해 도망쳐 나왔다고 합니다. 1899년 낭만주의 문학에 심취하여 첫 시집 《낭만적인 노래》와 산문집 《자정 이후의 한 시간》을 출간했으며 첫 시집 《낭만적인 노래》는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인정을 받았고 문단에서도 헤세를 주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1904년 장편 소설 《페터 카멘친트》를 통해 유명세를 떨치면서 문학적 지위도 확고해졌고 같은 해 아홉 살 연상의 피아니스트 마리아 베르누이와 결혼했으나 1923년 이혼하고 스위스 국적을 취득했습니다. 1906년 자전적 소설 《수레바퀴 아래서》를 출간했고, 1919년에는 자기 인식 과정을 고찰한 《데미안》과 《동화》, 《차라투스트라의 귀환》을 출간했으며 인도 여행을 통한 체험은 1922년 출간된 《싯다르타》에 투영되었고, 1946년 《유리알 유희》로 노벨문학상과 괴테상을 동시에 수상했습니다. 1962년 8월 9일 뇌출혈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자기실현을 위해 한시도 쉬지 않고 꾸준히 노력했습니다.
본 것
제1부
브라만의 아들
사문들 곁에서
고타마
깨달음
제2부
카말라
어린아이 같은 사람들 곁에서
윤회
강가에서
뱃사공
아들
옴
고빈다
해설 | ‘대립’을 넘어 ‘단일성’에 이르다 - 자아의 완성을 향한 구도의 여정
헤르만 헤세 연보
인상 깊게 남는 부분
책 서두에 싯다르타의 하나의 목표에 대한 내용이 있고 이 부분이 인상 깊게 남으며 내용을 소개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비우는 것, 갈증을 비우고, 소망을 비우고 꿈을 비우고, 기쁨이나 고통을 비우는 것이었다. 자아를 죽이는 것, 자아로부터 벗어나는 것, 마음을 비운 상태로 안식을 얻는 것, 자아를 초월하는 묵상을 하면서 경이의 세계를 접하는 것, 그것이 바로 그의 목표였다. 일체의 자아가 극복되고 소멸될 때, 마음속의 모든 욕망과 충동이 침묵할 때, 그때 비로소 가장 궁극적인 부분, 자아를 초탈한 존재의 가장 심오한 부분, 그 위대한 비밀이 깨어날 것이었다.
소감 및 적용할 것
카말라가 싯다르타에게 무엇을 잘하는지 물어보았을 때 싯다르타가 대답한 아래 3가지 내용이 있으며 이 부분 상당히 심오하고 인상적인 내용으로 개인적으로 좋지 않은 습관을 떨쳐버리려 할 때 또 좋은 습관을 들리려 할 때 등 모든 부분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으로 생각되며 모든 부문에 아래 3가지 내용을 적용해 보고자 합니다.
글로 표현된 이면의 내용을 이해해야 하겠습니다.
1. 나는 사색할 줄 압니다.
2. 나는 기다릴 줄 압니다.
3. 나는 단식할 줄 압니다.
추천드리는 분
이 책은 일반적으로 제가 접했던 자기 계발서와 다른 차원의 책임을 느꼈습니다. 책을 읽고 자기 각성, 마음가짐을 새롭게 하고 다시 시작하는 등의 기존의 자기 계발 서적과 달리 몇 차원 더 심오한 곳까지 들어가서 내 마음속의 근원을 touch 하는 느낌을 받았고 글로 표현하기 힘들지만 읽어 보시고 표현하기 힘든 그 느낌을 느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자기계발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평] 타이탄의 도구들 (41) | 2023.05.05 |
---|---|
[서평] 마케팅 설계자 (50) | 2023.05.01 |
[서평] 부의 추월차선 완결편 언스크립티드 (57) | 2023.04.04 |
[서평] 매달 무조건 돈이 남는 예산의 기술 (3) | 2022.11.12 |
[서평] 위대한 시크릿 (7) | 2022.11.10 |